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퇴계 이황2

공부가 너무 재미있는, 퇴계 이황 이야기 퇴계 이황 대해 잘 알고 계신가요? 그냥 지폐 속 인물, 성리학을 공부했던 선비정도 생각나는데요. 그렇다면 그의 삶은 어떠했을까요? 퇴계 이황 (1502~1571) 이황은 연산군 6년에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습니다. 이황의 아버지는 이황을 낳았을 때 이미 40세로, 나이가 많았는데요. 하필 이황이 태어나던 해에 아버지가 돌아가게 됩니다. 아버지를 여읜 이황은 홀어머니 밑에서 크게 되죠. 그는 누구보다 글 공부하는 것을 좋아했는데요. 특히 6살 때부터 천자문을 배우고, 12살에는 논어, 19살에는 성리학에 빠져 많은 학문적 성취를 이뤘습니다. 하지만 이이와 다르게 과거와는 인연이 없었는데요. 성인이 되고 과거시험에서 3번의 고배를 마십니다. 드디어 28살 되던 해에 진사시(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시험).. 2023. 3. 20.
동인과 서인, 붕당의 역사 국사시간에 우리를 괴롭혔던 것이 있죠. 바로 고려시대 문벌귀족, 무신정권과 권문세족 그리고, 조선시대 동인과 서인이죠. 또 동인과 서인도 이념과 이익에 따라 북인, 남인, 노론, 소론, 벽파, 시파 등등 공부하는 내내 괴롭혔던 기억이 납니다. 조선시대 붕당의 시작을 보통 선조 때부터 보는데요. 이시기 훈구파가 도태되고 사림파가 등용되던 시기였습니다. 그렇다면 붕당에 대해 알아볼까요? 훈구파와 사림파 조선을 건국했던 세력들이 조선 초기 세조시대를 거치며 훈구파가 되었고, 조선건국에 반대하여 대거 지방으로 낙향했던 세력은, 지방에 지지세력을 탄탄히 하여 사림파가 되었습니다. 당시 고인물이었던 훈구파는 세조시대를 시작으로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선조를 거치며 부정부패를 자행하는 등, 스스로 도태.. 2023.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