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이야기45 조선 전기 선비, 후기 선비 뭐가 다를까? 1부 선비 선비 하면 떠오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상투를 틀고 모자를 쓴 채 하얀색 옷을 입고 있는 모습, 서당에서 글공부를 하는 모습, 노비에게 '네 이놈!' 하며 호통치는 모습이 떠오를 것이다. 원래 선비란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에 대한 호칭으로, 유교적 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 또는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용어로 흔히 쓰인다. 우리가 아는 것과 같이 선비는 올곧고, 굳은 신념에 가득 찬 사람일까. 그렇다면 조선전기 선비와 조선후기 선비가 차이가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필자가 생각했을 때 선비는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 선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선비에 대해 알아보자. 고려 후기 조선의 선비를 알아보기 위해 고려 후기 선비인 '신진사대부'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다. 고려 후기, 원나라에 빌붙어 대농장을 .. 2023. 1. 23. 동아시아 4개국 참전 대전투 '백강전투' 백제와 왜 백제와 왜는 예로부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에 대한 사료는 많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을 예로 들면, 근초고왕 때 일왕에게 건넸던, 지금 일본의 국보인 '칠지도'가 있다. 당시 백제는 철을 잘 다루는 선진기술을 지니고 있었고, 그에 반해 일본은 철을 다루는 기술이 턱없이 부족했다. 당시 철은 오늘날 반도체, AI 등 첨단기술이나 마찬가지였다. 칠지도에는 ‘백제왕이 대대로 뛰어난 성음을 내어 왜왕을 위하여 정교하게 만들었다’라고 새겨져 있어, 당시 백제와 왜의 상하관계를 옅 볼 수 있다. 게다가 백제의 왕 중 무령왕이 지금의 표현을 빌리자면 일본에서 태어난 재외동포인 셈이다. 백제가 멸망하고 백제의 유민들이 신라와 고구려로 가지않고 왜로 망명을 했다는 기록이 많은 것을 보면, 백제와 왜.. 2023. 1. 18. 2023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23년 한국사능력검정 시험 일정이 발표되었다. 올해는 총 6번의 시험이 치러질 예정이며, 원서 접수 기간 및 추가 접수기간 그리고 합격자 발표일 또한 모두 확정되었다. 취업 준비생들은 물론 공무원 임용고시 응시 자격 요건 충족 또는 공기업 가산점 취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만큼 매년 높은 응시율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러한 인기만큼이나 매회 난이도 조절 실패라는 논란 속에서도 꾸준히 시행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그럼 올 한 해도 열심히 공부해서 원하는 목표 점수 달성하길 바라며 본 포스팅에서는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시험일정 시험일정에서 중요하게 알아두고 접수해야 하는 것으로는 2023년 6월 17일(토), 12월 2일(토)은 심화만 시험응시가 가능.. 2023. 1. 5. 신라가 지운 백제의 의자왕 백제의 의자왕 우리가 백제의 '의자왕'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일까?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노래의 내용 중 일부인, '삼천궁녀 의자왕' 또는 '백제의 향락의 왕', '백제를 망하게 한 장본인'이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백제의 마지막왕인 의자왕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나의 답은 '아니올시다'이다. '이도'하면 누가 떠오르는가. 바로 세종대왕이 떠오를 것이고, '고담덕'하면 광개토태왕이 떠오를 것이다. '이도'는 세종대왕의 이름이고, 세종은 나중에 후대왕으로 부터 받은 시호 또는 묘호이다. 그렇다면, 의자왕의 이름은 무엇일까. 바로 '부여의자'이다. 그 이유는 바로 백제의 마지막왕이기 때문에, 후대왕에게 시호를 받지 못하여 본명 그대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백제의 정.. 2023. 1. 5.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