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을지문덕2 고구려 개마무사(철갑기마병)에 대해 고구려 우리나라 역사 중 '고구려'라는 나라를 가장 좋아한다.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이 그럴 것이라 생각된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군사력이 불리한 상황에서도 다른 나라에 굴복하지 않고 고구려군만으로 수십 배, 수백 배 차이나는 적과 싸워 이겨 낸 사료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청야작전', '산성(산에 돌을 쌓아 만든 성) 등이 있겠지만, 필자는 '개마무사'의 존재라고 생각한다. 학창 시절 국사 교과서에 개마무사라는 단어는 들어보지 못하였다. 성인이 돼서야 '고구려가 수나라와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둘 수 있었을까'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 지휘관이 뛰어나서? 고구려군이 강해서? 하지만 당시 수나라와 당나라는 전 세계 내로라할 만큼 군사강국이었기 때문에 설명이 되지.. 2022. 12. 24. 살수대첩 고구려 30만 vs 수나라 113만 (김진명의 살수) 서론 우리나라의 전쟁사 중 3대 대첩을 꼽아보면, 을지문덕 장군의 살수대첩, 강감찬 장군의 귀주대첩,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을 들 수 있다. 고려시대 귀주대첩, 조선시대 한산대첩에 대해 사료가 많아 우리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살수대첩은 어떠한가. 고구려의 30만 병력과 수나라의 113만 병력이 붙어 이긴 전투로만 생각될 것이다. 김진명의 소설 '살수'를 읽고 비워져 있던 고수전쟁이 입체적으로 채워지는 느낌을 받았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존경하는 인물을 이야기해보라고 하면 1위, 2위를 다투는 인물이 바로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이다. 두 분도 너무 훌륭한 분이지만 을지문덕 장군 또한 위 위인들에게 절대 뒤처지지 않는다고 생각이 든다. 바야흐로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가 한반도에서.. 2022. 12.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