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성계4 고려 정몽주 vs 조선 정도전 고려를 지키려 했던 충신의 아이콘 정몽주, 역성혁명을 통해 새나라를 건국하려 했던 개혁의 아이콘 정도전, 두 천재의 이야기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정몽주 (1338~1392) 경북 영천에서 태어났고 그 지역의 향리를 세습하고 있는 집안이었습니다. 고려시절 향리직은 그 지역의 유지로 행정을 담당하는 사회적 위치를 갖고 있었고, 정몽주의 고향인 경북지역은 성리학의 메카였습니다. 고려 말 성리학을 처음 들여온 안향이 경북 영주를 중심으로 활동했기 때문이죠. 그 대표로 '목은 이색'을 들 수 있습니다. 이색은 원나라에 유학을 했으며, 원나라에서 과거에 급제한 엘리트 중 엘리트였습니다. 경북 영덕에서 활동했기에 당시 정몽주의 아버지와 친분이 있어, 이색의 밑에서 성리학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정몽주는 어려서부터 매우.. 2023. 2. 15. 소심한 겁쟁이? 조선 2대왕 이방과 '정종'이야기 드라마 속 이방과 '정종'의 이미지는 어떠한가요? 우유부단하고 소심한 모습으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정말 그랬을까요? 조선의 2대 왕 정종에 대해 알아보시죠. 이방과 (1357~1419) 고려 말, 무신이었던 이성계의 2남으로 태어나 아버지와 함께 전장을 누빈 장수였습니다. 왜구 20척이 해주를 침입하였을 때, 창왕은 우리 공정왕(이방과)과 유민수를 보내어 방어하게 하고 활과 화살을 하사 하였다고 되어 있습니다. 고려사 기록을 보았을 때, 당시 왕에게 신임을 받던 무장이었던 것이죠. 아버지 이성계가 고려 말,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이라는 새왕조를 세우는 일에는 크게 동조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고, 게다가 아버지와 함께 조선을 건국하려 했던 정도전에 대해서도 상당히 비판적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 2023. 2. 12. 방원이 네 이놈! 조선의 1대 왕 태조 이성계 조선건국 1392년 역성혁명을 통해 새나라가 건국되고, 이성계는 권력을 자기 마음대로 하기 위해 왕위에 오른 것이 아닌, 고려 백성들과 고려에서 관직을 했던 신하들의 마음을 얻어 나라를 꾸려가고 싶어 했습니다. 하지만, 5남이었던 이방원이 정몽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이성계가 생각한 그 계획이 틀어지게 됩니다. 정몽주를 자기 편으로 만들어 새나라를 만들고 싶어했기 때문이죠. 어렵사리 왕위에 오르고 보니 역성혁명을 반대하던 사람들과 중립을 지키던 사람들도 제법 있었기 때문에 태조는 이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데요. 신하들 앞에서 조회도 선 채로 받으며 겸손했다고 하니, 무쌍의 이미지와 잘 맞지 않죠? 그 이유는 갑자기 많은 것을 바꾸려고 하면 민심이 떠날 것이라 생각을 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대부분.. 2023. 2. 11. 무패의 장군 이성계 여러분은 이성계 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저는 드라마 속 "방원이 네 이놈!" 하는 나이 든 중년의 모습이 생각이 나는데요. 대부분 이성계를 연기했던 배우들이 나이가 많아서 무력이 뛰어났을 거라 생각되지는 않았습니다. 허나, 고려 말 이성계는 무패의 장군이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 역사 속 무패의 장군을 떠올리자면 대부분 성웅 이순신 장군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군주 이성계가 아닌 장군으로서 이성계는 우리나라의 최강 장수 중 한 명이었습니다. 고려 말 때는 고려 말, 원나라의 간섭과 원나라에 빌붙어 대농장을 소유하는 권문세족들이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어 수탈하는 등 국제정세와 국내정세 모두 혼란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 정리해 놓은 제 블로그가 있으니 나중에 참고하시기.. 2023. 2.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