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선비 하면 떠오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상투를 틀고 모자를 쓴 채 하얀색 옷을 입고 있는 모습, 서당에서 글공부를 하는 모습, 노비에게 '네 이놈!' 하며 호통치는 모습이 떠오를 것이다. 원래 선비란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에 대한 호칭으로, 유교적 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 또는 신분계층을 가리키는 용어로 흔히 쓰인다.
우리가 아는 것과 같이 선비는 올곧고, 굳은 신념에 가득 찬 사람일까. 그렇다면 조선전기 선비와 조선후기 선비가 차이가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이 생긴다. 필자가 생각했을 때 선비는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 선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선비에 대해 알아보자.
고려 후기
조선의 선비를 알아보기 위해 고려 후기 선비인 '신진사대부'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다. 고려 후기, 원나라에 빌붙어 대농장을 소유하고 있던 권문세족에 의해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져 갔다. 혹시 '입추의 여지가 없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이 뜻은 바로 고려 후기 권문세족들이 대농장을 소유하면서 일반 백성들이 소유할 땅이 없어 고려 땅에 바늘구멍조차 들어갈 틈이 없다는 말로 인해 생겨난 것이다.
이렇게 부패한 권문세족에 대항하는 세력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신진사대부이다. 공민왕시절 권문세족에 의한 견제로 신진사대부를 대거 등용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신진사대부는 스승 '이색'을 중심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고, 권문세족을 비판하면서 등장해 고려 말기 주도 세력이 된다.
고려 말, 우왕과 최영이 요동정벌을 주장하였고, 그 원정의 선봉으로 이성계를 내세운다. 하지만 고려의 영웅이었던 이성계는 4 불가론을 내세우며 요동정벌을 반대하였고, 위화도까지 갔지만 원정병력을 이끌고 회군하여 우왕을 폐하고, 최영을 살해한 후 고려 조정을 장악하니,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위화도회군이다.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권력을 장악한 이성계는 신진사대부를 등에 업고, 권문세족의 대농장을 몰수하였고, 과전법을 실시하여 고려 조정을 장악하였다. 이때부터 역성혁명을 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한다. 이 시기, 사대부는 두 세력으로 나뉘게 되는데, 급진파 사대부의 정도전세력과 온건파 사대부의 정몽주세력이다.
정도전세력인 급진파 사대부의 경우, 고려는 이미 기력이 쇠했으니, 역성혁명을 통한 새나라를 건국하자고 주장한다. 하지만 정몽주의 온건파 사대부는 절대 고려를 버릴 수 없고, 고려 내에서 개혁하자고 주장한다.
조선건국 전 이방원을 찾아온 정몽주에게 새나라를 함께하자고 회유하는 시를 읊는다. 이것이 그 유명한 '하여가'이다. 해석하자면, '이러면 어떻고 저러면 어떻고, 만수산 칡처럼 얽혀 조선건국을 함께하자'는 내용이다.
하지만 정몽주는 '단심가'로 반대의 의사를 피력한다. 그 내용은 '이 몸이 죽어도 절대 고려에 대한 일편단심은 변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조선건국을 반대의사를 밝힌 정몽주를,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이 선죽교에서 살해하였고, 정도전의 급진파 사대부들이 조선건국에 참여하게 된다. 결국, 정몽주의 온건파 사대부들은 대거 지방으로 낙향하여, 자신들만의 세력을 만들어가게 된다.
훈구파와 사림파
우리가 국사시간에 수없이 들었던, 훈구파와 사림파가 여기서 갈리게 된다. 이처럼 조선건국에 참여한 급진파사대부들은 조선 초기를 거치며 훗날 훈구파가 되고, 조선건국에 반대하여 낙향했던 온건파사대부는 훗날 사림파가 되어, 조선중기부터 차츰 정계에 진출하게 된다.
2부에서 계속...
조선 전기 선비, 후기 선비 뭐가 다를까? 2부
조선 전기 앞서 조선의 전기, 후기 선비 1부를 다뤘습니다. 이 글은 2부이니 1부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repairman.tistory.com/entry/%EC%A1%B0%EC%84%A0-%EC%A0%84%EA%B8%B0-%EC%84%A0%EB%B9%84-%ED%9B%84%EA%B8%B0-%E
www.48lrc.com
'역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vs 1000 경성 피스톨 '김상옥' (김상옥 의거 100주년) (2) | 2023.01.30 |
---|---|
조선 전기 선비, 후기 선비 뭐가 다를까? 2부 (2) | 2023.01.24 |
동아시아 4개국 참전 대전투 '백강전투' (4) | 2023.01.18 |
2023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일정 (2) | 2023.01.05 |
신라가 지운 백제의 의자왕 (4) | 2023.01.05 |
댓글